밀양 입구의 국도. 아들과 함께 죽은 남편의 고향을 향해 가던 신애의 고장난 차가 카센터의 종찬을 불렀다. 렉카차를 타고 밀양으로 들어가는 세 사람. 그러나 아직 그들은 모른다...
남편이 죽었다. 아들도 죽었다!
“당신이라면 이래도 살겠어요?”
신애는 피아노 학원을 열었다. 이제 통장엔 아주 작은 돈이 남았을 뿐이지만, 그녀는 이웃들에게 ‘좋은 땅 을 소개해 달라’며 자신만만하게 새 생활을 시작한다. 죽은 남편의 고향에 덩그러니 정착한 모자를 측은하게 보는 사람들에게 “ 저 하나도 불행하지 않아요” 라고 애써 말하며, 씩씩하게 군다. 그러던 중, 아들 준이를 잃었다. 숨바꼭질을 그렇게 좋아하던 아이는 그렇게 영영 나타나지 않았다.
동그라미처럼, 그가 맴돌기 시작하다
친구가 좋고, 다방 레지 아가씨의 치마 속이 궁금한 종찬은 서울서 밀양에 살러 왔다는 신애를 만난다. 살 집을 구해주고, 피아노 학원을 봐주고, 그녀를 따라 땅을 보러 다니며 그의 하루 일과는 시작된다. 이따금 돌발적인 신경질과 도도하고 고집스러운듯한 그 여자는 관심 좀 꺼달라며, 그를 밀어낸다. 그래도… 자꾸 그 여자가 맘에 걸린다.
이런 사랑도... 있다!
그녀에겐 남은 것이 없는 모양이다. 울다, 울다... 그저 혼자 토하듯 울고 있다. 모든걸 잊고 싶지만, 모든 원망을 놓아 버리고 싶지만, 할 수 없다. 그리고 이제 그녀는 싸우려, 그녀만의 일탈을 시작한다. 오늘도 종찬은 그런 그녀 주변을 빙글뱅글 맴돌고 있다. 모든 사랑을 잃어버린 여자와 지 맘도 잘 모르는 속물 같은 남자. 그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과연, 그들은 함께 찾을 수 있을까? 사랑… 시작할 수 있을까?
(엠파스 영화 사이트에서 퍼온 줄거리......)
어제 이 영화를 봤습니다.
너무 무거운 주제 때문에 영화를 보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자리를 박차고 나가고 싶을 만큼 무거웠지만 송강호때문에 일어날 수가 없었습니다.
전도연의 연기가 그만큼 훌륭했다고 봐야겠지요.
저는 이 영화에서 희망을 봤습니다.
모든 것을 잃고 아무것도 남지 않은 신애가 마지막 장면에서 머리를 자르고
잘린 머리카락은 바람에 실려 한쪽 구석으로 밀려납니다.
그리고는 마당 한 켠에 내리 쬐는 햇빛.........
여기에서 신은 공평합니다.
세상 어디에나 빛을 주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깊은 절망속에서도 희망은 있다라는 것이 이 영화의 주제라고 혼자 생각해 봅니다.
그냥 시간 때우기 위해서 보는 영화가 아니라 진지하게 인생을 생각하면서 봐야 하는 영화......
그러나 영화가 막 끝나고 내 뒷자리에 있던 어떤 아저씨 말 "에이! 드럽게 재미없네"........
맞습니다. 좋은 영화임에도 그리 관객에게는 어필하지 못할 영화같습니다..........
그러나 저 처럼 인생을 심각하게 사는 사람은 꼭 봐야할 영화............